소비자물가지수란 소비자가 일상생활에서 구입하는 몇백 개의 상품 및 서비스 요금 변동을 종합한 후 가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종합한 지수이고 생산자물가지수는 기업이 다른 기업이나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몇백 개의 상품이나 서비스 가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종합한 것입니다.

물가란 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중요도에 따라 평균한 종합적인 가격수준을 의미하며 물가지수는 이러한 물가의 움직임을 지수 형태로 나타낸 것으로 기준시점을 100 ( 2015년이 기준년일 경우 2015=100)으로 표시하게 됩니다. 쉽게 말해 어떤 시점의 물가지수가 100 이상이라며 기준시점보다 물가가 상승한 것이고, 100 이하라면 기준시점보다 물가가 하락한 것입니다.

 

물가지수는 크게 소비자물가지수와 생산자물가지수로 나뉘며 우리나라는 한국은행이 생산자물가지수를, 통계청은 소비자물가지수를 매월 발표합니다. 소비자물가지수를 통해 소비자들의 구매력과 가계의 평균생계비등을 파악할 수 있고 생산자물가지수를 통해서는 도매상들의 구매력과 상품의 수급 통향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comsumer price index : CPI)는 일반 도시가구가 소비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재화의 가격과 서비스요금의 변동을 종합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물가지수로서 최조 소비자 구입단 게에서의 물가변동을 파악하여 일반 도시 가구의 평균적인 생게 비 내비 소비자 구매력을 측정하기 위한 특수목적 지수입니다. 가계에서 주로 소비하고 동종 삼품 군의 가격을 대표할 수 있는 품목으로 구성돼 최종 소비자 가격을 기준을 작성하다 보니 대중에게 가장 친숙한 물가지수이기도 합니다. 다만 일상생활에서 주로 구입하는 일부 품목의 가격 변동만을 민감하게 느끼게 때문에 각가 느끼는 체감 물가는 소비자물가지수와 다를 수 있습니다.

생산자물가지수(producer price index: PPI)는 국내 생산자의 제 1차거래 단계에서 모든 재화 및 서비스의 평균적인 가격 변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것으로 그 대상 품목의 포괄범위가 넓어 전반적인 상품의 수급동향이 반영된 일반적인 물가 수준의 변동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통 일반목적 지수라고 불려집니다. 이때 지수작성에 사용되는 가격은 생산자 출하 가격 즉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생산자 판매 가격(공장도 가격)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가 소비자의 구매력을 나타낸다면 생산자물가지수는 기업의 비용인 생산원가와 관련이 있어 생산원가가 오르면 생산자는 시차를 두고 이를 판매 가격에 전가하게 되므로 소비자물가지수가 생산자물가지수를 후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VI 발동조건(+사이드카)  (0) 2022.05.27
고소 고발 차이(+접수방법)  (0) 2022.05.25
경비원 업무 범위 (+갑질 과태료)  (0) 2022.05.21
보통주 우선주 차이(+괴리율)  (0) 2022.05.20
대주주 요건(+기준일)  (0) 2022.05.20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