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월부터 4월까지 전국 누적 강수량은 평균보다 부족해 전국 곳곳에 기상 가뭄상태로 2022년 장마시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장마는 여름철에 여러 날을 계속해서 비가 내리는 현상이나 날씨 또는 그 비를 이르는 말로 한자어로는 임우(霖장마림 雨비우)라고 합니다. 기간은 평균적으로 30~35일이나 실제로 비가 내리는 날은 15~20일정도 이며 이중에서도 정체전선에 의해 내리는 경우는 12~ 16일 남짓에 불과합니다.
기상청의 예상대로 비가 내려준다면 6월 셋째주 중반쯤이면 장마전선이 북상할 것으로 예상되며 20일 전후해서 남해한 지역, 21일 이후에는 내륙에까지 장마가 시작될것라 전망되고 있으며 올 여름 강수량은 평년(622.7mm ~ 790.5mm)과 비슷하나 대기 불안정 및 평균수온 상승에 따라 국지성 집중호우와 태풍의 발생빈도가 증가할 전망입니다.
평균적으로 우리나라의 장마는 6월 중순후반 (6.19)에 제주도 지역에서 장마가 시작해 남부지방 ( 6월 23일)에 거쳐 중부지방 ( 6월 25일)에 이르게 되며 장마기간은 제주도 지역이 32.4일로 가장 길게 나타나고 남부와 중부지방은 약 31일로 나타납니다.
• 중부지방 6월 25일 ~ 7월 26일까지 장마기간은 31.5일이며 강수일수는 17.7일
• 남부지방 6월 23일 ~ 7월 24일까지 장마기간은 31.4일 이며 강수일수는 17일
• 제주도 6월 19일 ~ 7월 20일까지 장마기간은 32.4일이며 강수일수는 17.5일
참고로 장마가 가장 빨리 시작했던 해는 중부지방 2013년 6월 17일, 남부지방 2011년 6월 10일 , 제주도는 2020년 6월 10일이며 가장 늦게 시작했던 해는 중부지방 2021년 7월 3일, 남부지방 2021년 7월 3일, 제주도 2021년 7월 3일입니다.
장마가 시작되기 전인 6월 초에는 강수가 감소했다가 장마가 돌입하는 6월 하순부터 7월 초 강수가 다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후 7월 말부터 8월 초 사이 강수가 다시 줄었다가 장마가 끝난 후 8월 하순에 2차 우기인 가을장마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최근 10년간 장마 평균값 종료일은 중부지방은 7월 26일, 남부지방은 7월 24일, 제주지방은 7월 20일입니다.
참고로 날씨예보 및 위성영상은 아래서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날씨예보 확인하기
한편 기상청은 과거 장마 예상시기를 발표했지만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장마 예상시기가 자주 변하고 정확도가 떨어져 국민들의 혼란을 가중시킨다는 이유로 장마예보는 하지 않고 통계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서류(+신청방법) (0) | 2022.06.20 |
---|---|
서울시공무원 시험일정(+원서접수) (0) | 2022.06.20 |
임금피크제 대법원판결 무효(+가이드라인) (0) | 2022.06.17 |
힐스테이트탑석 분양정보 및 분양가(+홈페이지) (0) | 2022.06.17 |
범한퓨얼셀 주가전망(+신규상장) (0) | 2022.06.17 |
최근댓글